평달 윤달, 헷갈리지 않는 완벽 이해 방법

평달과 윤달은 음력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평달과 윤달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이 음력의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평달 윤달, 헷갈리지 않는 완벽 이해 방법

평달 윤달, 헷갈리지 않는 완벽 이해 방법

평달과 윤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음력의 기본 원리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음력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하여 한 달을 정합니다.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29.5일입니다. 따라서 음력 한 달은 29일 또는 30일로 구성됩니다.

문제는 음력 12달이 약 354일로, 양력 1년(약 365일)보다 약 11일이 짧다는 점입니다. 이 11일의 차이가 쌓이면 계절과 음력 날짜가 어긋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음력 1월이 겨울인데 몇 년 후에는 음력 1월이 가을이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윤달’입니다. 윤달은 음력과 계절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음력 날짜가 계절에 맞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24절기와 윤달의 관계

윤달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개념은 ’24절기’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1년을 24등분하여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입춘, 경칩, 춘분, 하지, 동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24절기는 크게 ‘절기’와 ‘중기’로 나뉩니다.

  • 절기: 매월 초에 해당하는 절기로,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이 있습니다.
  • 중기: 매월 중순에 해당하는 절기로, 우수, 춘분, 곡우, 소만, 하지, 대서, 처서, 추분, 상강, 소설, 동지, 대한이 있습니다.

윤달이 생기는 규칙은 바로 ‘중기가 없는 달’입니다. 음력 한 달은 보통 하나의 절기와 하나의 중기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음력 12달이 양력 1년보다 짧기 때문에, 어떤 달에는 중기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 중기가 없는 달이 바로 윤달이 됩니다.

평달과 윤달의 명확한 구분

이제 평달과 윤달을 명확하게 구분해 보겠습니다.

  • 평달: 24절기 중 절기와 중기가 모두 포함된 달입니다. 일반적으로 아는 음력 달력의 달들이 평달입니다.
  • 윤달: 24절기 중 중기가 없는 달입니다. 이 달은 앞 달의 이름을 따서 ‘윤’을 붙여 부릅니다. 예를 들어, 4월에 중기가 없으면 ‘윤4월’이 됩니다.

핵심 요약:

  • 평달 = 절기 + 중기
  • 윤달 = 절기만 있고 중기가 없는 달

윤달의 특징과 의미

윤달은 계절과 음력 날짜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추가된 달로, ‘덤으로 얻은 달’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윤달에는 평소에 하기 어려웠던 일이나 미뤄왔던 일을 하기에 좋다고 여겼습니다.

또한, 윤달은 귀신이 활동하지 않는 ‘손 없는 날’로 여겨져, 결혼, 이사, 수의 제작, 묘 이장 등 중요한 행사를 하기에 좋은 길일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수의를 미리 만들어두면 장수한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윤달이 끼면 음력 날짜 계산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윤달이 있는 해에는 음력 4월이 두 번 오기 때문에, 음력 4월생의 생일이 두 번 올 수도 있습니다. (물론 실제 생일은 처음 오는 4월입니다.)

윤달 주기

윤달은 보통 2~3년에 한 번씩 돌아옵니다. 정확히는 ’19년에 7번의 윤달’이 들어갑니다. 이를 ’19년 7윤법’이라고 합니다. 대략적인 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3년 1윤: 3년에 한 번 윤달이 드는 경우
  • 5년 2윤: 5년에 두 번 윤달이 드는 경우
  • 8년 3윤: 8년에 세 번 윤달이 드는 경우

이러한 주기는 음력과 양력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복잡한 계산에 의해 결정됩니다. 우리가 이 주기를 일일이 외울 필요는 없으며, ‘중기가 없는 달이 윤달’이라는 핵심 원리만 기억하면 됩니다.

헷갈리지 않는 완벽 이해를 위한 실전 팁

  • 달력 확인: 음력 달력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윤달이 있는 해에는 달력에 ‘윤’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 24절기표 참고: 24절기표를 함께 보면 어떤 달에 중기가 빠졌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리 이해: ‘중기가 없는 달이 윤달’이라는 핵심 원리를 머릿속에 각인시키세요. 이 원리만 알면 어떤 달이 윤달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양력과의 비교: 음력 날짜가 양력 날짜와 비교했을 때 계절적으로 너무 동떨어져 있다면, 윤달이 끼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평달과 윤달은 음력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달의 주기’와 ’24절기 중 중기가 없는 달이 윤달’이라는 핵심 원리만 정확히 이해한다면 더 이상 평달과 윤달을 헷갈릴 일이 없을 것입니다. 윤달은 단순히 날짜를 보정하는 것을 넘어,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삶의 의미가 담겨 있는 특별한 달이라는 점을 기억하며, 윤달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평달과 윤달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평달은 절기와 중기가 모두 포함된 달이고, 윤달은 중기가 없는 달입니다.

윤달은 얼마나 자주 발생하나요?

윤달은 보통 2~3년에 한 번씩 발생하며, 19년에 7번의 윤달이 들어갑니다.

 

📌참고 하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